2011년 1월 7일 금요일

비오톱 Biotope DESIGN BY CA PLAN


비오톱 Biotope

비 오톱(Biotope)이란 ‘생물’을 의미하는 Bios와 ‘장소’를 의미하는 ‘Topos’의 합성어로서. ‘생물서식공간’을 의미한다. 제딕케(E. Jedicke, 1992)는, 비오톱이란‘어떤 특정의 생물사회(생물군집)의 서식공간’이고‘공간적으로 일정의 단일적 성질을 가지고 또 이 성질에 의하여 주위와의 경계를 긋는 것이 가능한 공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본 제안은 Big-O의 해양서식환경 구현을 위하여 이러한 비오톱의 생물사회개념과 서식공간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비오톱은 공간적으로 ‘핵(Core Zone)’과 ‘회랑(Buffer Corridor)’과 ‘거점(Transition Zone)’으로 구성된다. 핵은 비오톱 네트웍에 있어서는 생물의 공급원에 해당 되는 핵심공간이고, 가장 자연의 다양성이 높은 공간이다.


회랑은 핵과 핵, 핵과 거점을 연결하는 요소이고, 동물의 이동경로, 식물의 종자의 전달경로이다. 거점은 회랑의 중간 혹은 회랑의 말단에 위치하는 작은 개념의 공간을 말한다.


비오톱의 핵, 회랑, 거점의 연결과 배치는 생물의 번식과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제안은 위와 같은 단위개념을 공간 프로그램에 반영하고 Big-O 건강한 생태환경의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Biotope is a compound word which derives from the Greek words “bio”, a living thing, and “topos” which means place. The word also means “natural inhabitant” when translated from German. According to E. Jedicke (1992), Biotope signifies a space where a “specific biological society forms” and “allows for delineating boundaries from the periphery according to its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Biotope spatially consists of a Core Zone, Buffer Corridor and Transition Zone.

The Core Zone, within the biotope network is the space designated asa source of biologic supply, origin of the diversity and genetic resources. The Buffer Corridor connects the Core Zone to another Core Zone and also to a Transition Zone, and serves as the moving path for animals and route of seed dispersal for plants.

The Transition Zone is situated in the middle of or at the end ofthe Buffer Corridor, andmaybe defined as a small spatial environment. The Transition Zone is generally located in urban areas, and through its location, it serves as a critical point where citizens may interact with nature. Since arrangement and connection of these three spac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pagation and survival the ecosystem, it can be said that these spatial units allow for diverse species to prosper harmoniously.




스마트 비오톱 Smart Biotope

비 오톱 단위패치간의 네트워크는 단위개체 간의 연결과 교류가 생태계 전체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가상공간의 온라인 네트워크와 유사성을 가진다. 본 제안에서는 이러한 유사성을 활용하여 실제공간의 생태적 네트워크와, 관람자참여에 의한 가상 네트워크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한 장소에서 다양한 비오톱 환경을 구축하고 이 곳에 동식물이 서식하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가상공간 개념의 도입은 생명의 종과 개체수 한계를 극복하는 해결안이 되고있다.

관람자들은 비오톱으로 구성된 Big-O의 생태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가상의 생명체(Virtual Species)를 탄생, 성장, 진화 시키면서 1인칭 입장의 관점에서 관람에 참여한다. 관람 시간동안 관람자는 자신의 가상생명체를 다른 관람자의 가상생명체와 교류시키며 생태계 속에서 활동하는데,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해양환경과 지구환경 시스템을 이해하며 그 가치를 공감하게 된다. 더불어 건강한 지구환경을 유지하기위한 온실가스배출, 환경오염물질, 생태균형의 파괴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효과를 가진다.


개인의 관람 행위에 따라 생명체의 성장은 다양하게 변하게 되는데, 여러 관람자의 참여는 가상의 공간에 누적되어 거대한 지구생명체‘Gaia’를 완성하게 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참여는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관람자는 체험이후에도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의 동기를 갖게 된다.


The biotope network, where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unit-patchesactivates the entire ecosystem, will possesssimilarities to a virtual online communication network. This proposal attempts to create a fusion between the ecological networks in real space and the communication networing virtual space by utilizing thestructural, cultural and social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Because establishing a diverse biotope environment and allowing nature to inhabit a single location poses limitations, the integration of the virtual space network may provide a solution to overcoming the problem of a limited diversification of life.

Within the ecosystem of biotopes making up the Big-O, the visitor may create, evolve and grow their own “Virtual Species”, which provides them an interactive, participatory perspective of the experience. For instance, during the visit, the viewers may play an active role within the ecosystem by allowing their “Virtual Species” to communicate with those of other visitors. Through this process, the visitors gain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arine ecology and earth’s ecosystem, and also share its values with others. Moreover, the experience may also educate the viewers on the serious effects of greenhouse gas,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other destructive factors which prohibit the maintenance of a healthy ecosystem on Earth. According to individual visitor participation, the “Virtual Species” may transform in different ways, and the accumulation of each contribution then becomes a critical element in completing the grand system of “Gaia”. Because active participation is also possible remotely through the internet, it provides incentive for visitors to continue their interest and involvement in the programeven after the initial visit.

댓글 없음:

댓글 쓰기